티스토리 뷰
cod와 cad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무역거래에 있어 매도인이 대금이라는 금전적 대가를 받고 매수인에게 물품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국제적인 물품매매계약으로 물품인도와 대금 지금이 동시에 이루어지기보다 계약 성립 후 일정기간이 경과 후 계약이 이행됩니다. 또한 계약물품의 조달, 선적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가장 기본적인 무역대금결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가장 안전한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대금결제의 당사자는 물품인도 후 대금을 청구할 권리가 있는 채권자와 대금 지급 의무가 있는 채무자가 있습니다. 또한 대금결제의 방법중에는 물품이 선적되기 전 대금을 미리 지급하는 선지급 방식과 수출업자가 물품을 인도하고 동시에 수입업자가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인 동시 지급 방법이 존재합니다.
결제방식의 분류
-선지급 : 물품이 선적되기 전 대금을 미리지급
-동시 지급 : 수출업자가 물품을 인도하고 동시에 수입업자가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
동시 지급방식에는 COD와 COD 결재 방식이 존재합니다.
- COD (Cash on Delivery) : 직접 현물의 상태를 검사 후 후 현물의 문제가 없다는 걸 확인한 후 물품과 대금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같은 물품이라도 생산, 가공방법 등에 따라 가격의 차이가 많이 나는 보석과 같은 귀금속류의 거래에서 많이 활용되며 수입지에 수출자의 해외지사 등 대리인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용됩니다.
- CAD (Cash against Documents) : 수출은 수출자가 선적 후 선적서류를 수입자나 수입자의 대리인에게 제시하여
수출대금을 받고 선적서류를 넘겨주는 방식이며 CAD는 수출국내에 수입자의 대리인이 있는 경우 이용됩니다.
COD, CAD의 경우 자주 거래되는 방식은 아니며 CAD의 경우 수입업자의 대리인은 수출자의 국가에 소재하고
있으며, 혹 대리인이 선적서류의 인수를 거부할 경우 곤란한 상황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online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셀러 계정 등록방법 (0) | 2020.10.24 |
---|---|
도매사이트의 종류 총정리 (0) | 2020.10.22 |
아웃소싱 뜻과 장단점 및 플랫폼 (0) | 2020.10.20 |
소호무역이란? (0) | 2020.10.15 |
소상공인 온라인 창업교육 신청방법 (1)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