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수출유통과정 어떻게 이루어 질까?
화장품 수출 유통과정 어떻게 이루어 질까?
오늘날 화장품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어 그 소비량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화장의 기원은 인간이 아름다워지려는 본능적 욕구 충족을 위해 화장을 했다는 장식설, 자연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화장을 했다는 신체 보호설, 성별이나 신분, 계급을 구분하기 위해 화장을 했다는 계 급설 등이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k뷰티가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한국화장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져 화장품 수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이 발표한 2018년 11월 화장품 수출 잠정치는 4.2억 달러로 3월 수출액 90% 수준까지 회복했다고 합니다. 중국과 동남아 시장 외에 미국, 일본 등 선진 시장으로 수출이 늘어나는 등 화장품 수출 규모는 계속 커질 전망입니다.
화장품 수출 절차는 크게 7가지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1. 수출 계약 단계
2. 상표등록
3. 제품허가신청
4. 통과서류준비
5. 포워딩업체 선정
6. 선적 스케줄 확정 과정
7. 적제과정
화장품 수출은 복잡한 절차만큼 준비해야 하는 서류도 상당히 많은 편입니다.
화장품 수출 시 필요서류
1. 상업송장
2. 포장명세서
3. 선하증권
4. 보험증명서
5. 신용장
6. 원산지증명서
7. 제품 성분표, 제조공정도
이외에 각 국가별에서 규정에 따라 추가로 요구하는 서류도 준비해야 합니다.
인허가 절차 진행은 해당 국가에서 판매할 수 있는 상품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말하며 이 절차 역시 국가별로 기준과 절차가 다르며 수출하고자 하는 국가에 따라 준비 작업이 필요합니다. 화장품 수출 과정은 상당히 복잡하지만 코로나 19 여파로 인해 위생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한국화장품과 목욕제품 등 k뷰티 제품의 수출이 늘고 있는 만큼 한국화장품 사업은 앞으로도 밝은 전망입니다.